Spring Boot 기능 구현 참고 예제

YouTube

GitHub

이팩티브 자바 요약

유튜브 백기선 이팩티브 자바 3판을 읽고 본인이 주관적으로 정리한 내용

Mustache GitHub

mustache, mustache java 외에 JavaScript, Python,Android, C++ 등 다양한 언어에서 사용할 수 있다.

Devlop Roadmap GitHub

Devlop Roadmap에서 Backend Roadmap의 가이드 라인을 참고하여 방향성을 잡을 수 있다.
Backend 이외에도 Frontend, DevOps, Data Structures and Algorithms, JavaScript등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 라인이 많다.

Notion

스프링 OAuth2 클라이언트 JWT

유튜브 개발자 유미 스프링 OAuth2 클라이언트 JWT영상 참고 자료

스프링 OAuth2 클라이언트 세션

유튜브 개발자 유미 스프링 OAuth2 클라이언트 세션영상 참고 자료

스프링 시큐리티 JWT 심화

유튜브 개발자 유미 스프링 시큐리티 JWT 심화영상 참고 자료

스프링 시큐리티 JWT

유튜브 개발자 유미 스프링 시큐리티 JWT영상 참고 자료

스프링 시큐리티 내부 구조

유튜브 개발자 유미 스프링 시큐리티 내부 구조영상 참고 자료

Blog

Springdocs-OpenAPI Swagger-ui, api-doc(Springdocs-OpenAPI 공식 깃허브)

Spring Boot가 v3으로 버젼 업이 되면서 Springfox 대신 OpenAPI를 사용해서 API문서를 작성하고있다.
Swagger를 이해하고 적용하는데 참고한 블로그 : 블로거1,블로거2,블로거3,블로거4,블로거5

공식 사이트

Git Fork(Git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의 공식 웹사이트)

macOS와 Windows 운영 체제를 위한 효율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인 GUI 기반의 Git 클라이언트입니다.
Git 리포지토리를 더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여러 기능을 제공하여 복잡한 Git 명령어 없이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NGINX(Nginx 웹 서버 소프트웨어 공식사이트)

HTTP 웹 서버, 로드 밸런싱, HTTP 캐싱, 리버스 프록시, 메일 프록시, 일반 TCP/UDP 프록시 서버 기능 등을 포함하여 사용됩니다.
높은 동시성 처리와 낮은 메모리 사용량을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높은 성능, 안정성, 간결한 설정, 낮은 자원 사용량으로 인기가 많아졌습니다.

CHARTIST.JS(차트 라이브러리)

SVG(Scaleable Vector Graphics)를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차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간단하면서도 유연한 API를 제공합니다.
CSS를 통한 스타일링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 개발자가 차트의 디자인을 쉽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Travis CI(GitHub에서 호스팅되는 프로젝트를 위한 지속적 통합 서비스)

.travis.yml 파일에 설정을 추가함으로써 코드의 자동 빌드/테스트와 더불어,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통과한 코드를 자동으로 배포하는 과정까지 구현할 수 있습니다.

Putty(오픈 소스 터미널 에뮬레이터 프로그램)

네트워크 프로토콜인 Telnet, rlogin, SCP, SSH 등을 지원하며 SSH(Secure Shell)를 통해 암호화된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안이 중요한 환경에서 원격으로 서버를 관리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Windows 환경에서 리눅스나 유닉스 서버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AWS,GCP,Azure 등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odeium(GitHub Copilot을 대체하는 무료 AI 코드 완성 도구)

YouTube에서 영상을 보고 알게된 플러그인이다.
지원하는 언어와 Tool도 다양하며 GitHub Copilot의 10달러 버전 기능을 대부분 같고 사용법도 비슷하여 사용이 어렵지않다.
Codeium 사용법 및 단축키
코드 작성 중이면 적용가능한 예제가 보입니다.
[사진] Tab키 : 제안하는 코드로 완성합니다.
[사진1] Alt + ] : 다음 제안 코드 보기
[사진2] Alt + [ : 이전 제안 코드 보기
[사진3] Ctrl + i : 인라인 코드 제안 - 인라인에서 원하는 기능을 입력하면 코드를 제안 받을 수 있습니다.
코드 내에서 선언된 함수나 클래스가 있는 경우 사용 가능한 단축키를 보여줍니다.
[사진4] Explain : AI Chat으로 선택된 함수에 대해 코드 리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처음 제공되는 내용이 부족할 수 있지만 추가 요청을 하여 상세하고 한국어로 번역된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사진5] Generate DocString : 선택한 함수에 주석과 같이 코드의 특정 부분을 문서화하는데 사용되는 문자열 리터럴를 생성합니다.
[사진6] Refactor : Codeium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리택토링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진7] Chat : Copilot과 같은 기능을 하며 프롬포트를 입력한 후 Ctrl + Enter를 누르면 현재 활성화된 소스 파일을 분석하여 이를 이용한 작업을 요청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진8]

카테고리:

업데이트:

댓글남기기